IT 성장기 (교육이수)/리눅스 기초 (2024.02-04)
리눅스 명령어 활용 : 파일과 디렉토리 관리 (2/24)
eezy
2025. 1. 8. 16:31
2023.02~2023.04 교육과정 정리
다중 디렉토리 생성 및 삭제
- 디렉토리 생성
- mkdir dir{1..10}: dir1부터 dir10까지 생성
- touch file{1..10}: file1부터 file10까지 파일 생성
- 디렉토리 삭제
- rm -rf dir{1..10}: dir1부터 dir10까지 삭제
- rm -rf [a-c]*: a부터 c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/디렉토리 삭제
- rm -rf [^a-c]*: a~c로 시작하지 않는 모든 파일/디렉토리 삭제
- rm -rf [!bc]*: b, c로 시작하지 않는 모든 파일/디렉토리 삭제
파일/디렉토리명 변경
- rename .txt .bak f*: f로 시작하는 파일의 확장자를 .txt에서 .bak로 변경
- touch -t 2402241400 file: file의 수정 시간을 2024년 2월 24일 14시 00분으로 변경
파일 내용 분석
- 글자 수 세기 (wc)
- wc file: 행, 단어, 문자 수 출력
- wc -l file: 행 수 출력
- wc -w file: 단어 수 출력
- wc -c file: 문자 수 출력
- 파일 형식 조회
- file file.txt: 파일의 형식 확인 (e.g., 텍스트, 데이터 파일)
- 파일 내용 추출 (cut)
- cut -c 1-4 file: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문자 출력
- cut -f1 -d, file: 구분자 , 기준으로 첫 번째 필드 출력
vi 편집기
- 모드
- 편집 모드: i, a, o 키로 진입
- 명령 모드: ESC 키로 진입
- 실행 모드: :로 진입
- 명령어
- x: 한 문자 삭제
- dw: 단어 삭제
- u: 되돌리기
- :w: 저장
- :q!: 강제 종료
- :%s/old/new/g: 모든 old를 new로 변경
- :2,10s/old/new/g: 2행부터 10행까지 old를 new로 변경
파일/디렉토리 내용 정렬
- 정렬 명령어 (sort)
- sort file: 파일 내용 정렬
- sort -o sorted.txt file: 정렬 결과를 sorted.txt에 저장
- sort -k 2 file: 두 번째 필드 기준으로 정렬
- sort -t, -k 1,1 file: 구분자 , 기준 첫 번째 필드로 정렬
필드 값 추출 (awk)
- awk '{print $1}' file: 첫 번째 필드 출력
- awk -F, '{print $1, $2}' file: 구분자 , 기준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필드 출력
유용한 옵션
- ls 명령어 옵션
- -a: 숨김 파일 포함 출력
- -l: 자세히 출력
- -h: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출력
- -R: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
- -S: 파일 크기 순으로 정렬
- -t: 생성 시간 순으로 정렬
- tee
- | tee file: 명령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고 파일로 저장
- 문자열 검색 (grep)
- grep 'pattern' file: 파일에서 pattern 검색
- grep -n 'pattern' file: 검색 결과의 줄 번호 표시